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불교의 특징

한국 불교의 조화 전통은 원효, 의천, 지눌로 이어지는 한국 불교 사상가는 다양한 경전과 종파 사이의 조화와 일치를 추구하는 하나의 흐름을 형성한다. 원효는 부처의 모든 가르침이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고자 설해졌다는 관점에서 다른 종파의 가르침을 포용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바탕에는 중생에게 스스로 부처가 될 수 있는 본성이 있다고 강조하는 대승 불교의 정신이 있다. 또한 의천과 지눌은 정과 혜의 균형을 강조하는 초기 불교의 정신을 이어받아 다양한 종파의 다툼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한국 불교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대중의 구제를 지향한 실천성을 들 수 있다. 원효는 더 많은 사람이 깨달음을 얻게 하고자 무애행을 통해 자비의 윤리를 실천하였다. 지눌은 선교 일치 정신에 입각한 수행 공동체인 정혜결사를 만들고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을 추구하여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 내었고, 마음의 청정을 추구하여 정치권력과 결탁한 불교계를 도덕적으로 각설하게 하였다. 이처럼 한국 불교는 실천을 강조하며 자신의 해탈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도덕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여 대승 불교의 정신을 현실에 구현하였다.

 

한국불교 윤리의 현대적 의미

한국 불교의 조화 전통이 현대의 갈등 해결에 주는 시사점은 현대 사회는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갈등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우리는 종파 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고 균형과 조화를 추구한 한국 불교의 조화 전통에서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원효, 의천, 지눌이 종파의 다툼을 해결하고자 서로 다른 종파가 궁극적으로는 꺠달음을 지향한 다는 점을 지적한 것에서 우리는 갈등을 해결하려면 당사자에게 그들이 지향하는 공동선이나 목표를 자각시켜야 한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또한 깨달음을 얻으려면 자신에게 부처의 본성이 있다는 것을 자각해야 한다는 가르침에서 갈등 상황에서 자신 안의 양심과 선의를 되새겨 보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부처의 가르침이 다양한 것은 중생의 서로 다른 상황 때문이라는 생각을 받아들인다면 자신과 갈등하는 상대방의 처지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자세를 갖출 수 있다. 한국 불교의 실천적 전통은 현대 사회에 어떤 의의가 있을까? 오늘날에는 사회 양극화의 심하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외된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보살의 정신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중을 도우려는 한국 불교의 전통은 이들을 포용하여 공동체의 유대감을 회복하는 데 혜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눌에서 두드러지는 소박하고 절제된 한국 불교의 수행 전통은 과학 기술의 발달과 물질적 풍요로 말미암아 무절제한 소비로 자연을 파괴하는 현대인에게 절제의 미덕을 일깨워 줄 수 있다.